티스토리 뷰
여러분들은 장폐색이라는 말 들어 보신 적 있으신가요? 장폐색증이란 변이나 장에 담석이 내려오거나 회충덩어리로 장이 가로 막혔을 때, 혹은 장이나 장 근처에 생긴 종양에 의해 장이 막혔을 때 등 장이 부분적 또는 완전히 먹히게 되어 음식물이나 소화액, 가스 등의 장 내용물이 통과하지 못하게 되는 질환을 말합니다.
어린 아이의 경우 장중첩증으로 장이 꼬여서 장을 막아 장폐색으로 발전할 수 있어 특히 주의가 필요한데요, 장폐색증 원인은 무엇인지, 장폐색증 증상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치료방법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장폐색증 원인
장폐색증 원인으로는 기계적인 원인으로 장이 막히게 되는 경우와 장의 운동이 중지되어 기능적으로 폐쇄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마비성 장폐색은 장의 운동능력이 저하되어 기능적으로 장관이 막히는 경우에 해당되며, 기계적 장폐색은 수술이나 탈장, 종양 등에 의한 장의 유착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장 혹은 장 근처에 생긴 종양에 의해 장이 막히기도 하며, 회충 덩이리 같은 것이 장을 가로 막을 때, 변이나 장에 담석이 내려왔을 때, 크론병과 같은 염증성 질환에 의해 장벽이 두꺼워질 때 장폐색증이 생기기도 합니다.
또 대수술 이후에 급성 복막염 또는 폐렴 등과 같은 중병을 치른 후 일시적인 장 마비로 인해 생기기도 하고, 어린이들의 경우 장이 서로 겹치거나 꼬여 장을 막을 때 장폐색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장폐색증 증상
장폐색은 심한 복통과 함께 배가 팽팽해지고, 배 부위 어디를 눌러도 통증이 느껴지며 구토를 계속 합니다. 이런 상태가 지속되어 악화될 경우 쇼크상태로 갈 수도 있는데요, 이것을 급성 장폐색이라고 합니다.
구토는 처음에 위에 있는 내용물을 토하게 되다가 시간이 지나게 되면서 장의 내용물을 토하게 되는데요, 폐색된 부위과 아래쪽일수록 대변 같은 것을 토해냅니다. 악화되면 복막염으로 진행되므로 원인을 불문하고 속히 병원으로 이송하여 치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어린아이의 장중첩증도 장폐색의 일종으로 구토, 혈변이 보이며, 얼굴이 창백해지고, 몸을 구부리고 우는데 쉽게 그치지 않고 몸이 축 쳐지면 장중첩증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발생원인에 상관없이 유사한 증상을 보이지만, 차이점이라면 마비성의 경우 가스배출이나 설사가 잦은 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그 외 공통된 증상으로 심한복통과 구토, 복부팽만으로 인한 소화 이상, 수분 및 전해질 불균형, 탈수, 저혈압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장폐색 치료방법
장폐색 치료를 위해서는 원인 분석이 가장 중요한데요, 마비성 장폐색의 경우 심한 통증으로 고생할 수 있으므로 진통제를 맞으면서 마비가 풀리기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장을 편하게 쉬게 해 주기 위해 금식을 하고 수액이나 전해질 공급 또는 약물치료를 진행하게 됩니다.
만약 다른 원인으로 인한 경우에는 장을 가로막은 원인 물질을 제거해주는 수술을 해주어야 하므로 복부방사선촬영 또는 복부CT 등을 통해 원인을 진단한 뒤 치료방법을 결정되어야 합니다. 보조적인 치료로써 조심스럽게 관장을 하고 배를 따뜻하게 찜질해주는 것도 좋다고 합니다.
장폐색증 치료가 늦어질 경우에는 중첩된 부분의 혈액순환이 나빠져서 터지거나 괴사를 일으켜 복막염으로 진행되기 쉬우므로 증상을 인지했을 때는 속히 전문의와 상담 및 치룔르 받는 것이 좋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승의날 유래 및 의미 알아보기 (0) | 2017.05.03 |
---|---|
수세미 효능 및 부작용 알고 먹자~!! (0) | 2017.04.28 |
인천대교 통행료 및 톨비 차종별 정보 총정리 (0) | 2017.04.26 |
네임펜 지우는법 어렵지 않아요~!! (1) | 2017.04.25 |
대구공항 주차요금 총정리 (0) | 2017.04.25 |